'지하철'에 해당하는 궁시렁 2개
- 2012.07.27 지하철 동일역 5분 환승제도 대충만 알고 있다가 생돈 날렸네 ㅠ (6)
- 2007.10.29 영화 볼 때 막장보는 환승 방법 ㅡㅡㅋ (2)
지난 달 지하철을 탈 때 방향을 잘못 알고 반대쪽으로 탔다가 원래 가야하는 방향 승강장으로 넘어가기 위한 승객의 편의를 위해서 교통카드를 찍고 들어갔다가 나와서 5분 안에 다시 타면 환승처리를 해 주는 시스템이 등장했다. 이제까지는 휠체어가 들어가는 개찰구에 가서 벨을 눌러 직원을 호출한 뒤 게이트가 열리면 휘리릭 반대편 휠체어 개찰구로 가서 다시 벨을 누르고 들어가야 했는데, 환승 횟수는 깎여도 그런 복잡한 절차가 필요 없이 그냥 삑- 삑- 하고 반대편으로 가면 되니 편하겠네- 하고 인지하고 있었지.
그러다 어제 아침에 지하철에서 자다가 일어났는데 (보통은 문이 닫힌 뒤 5~10초 정도 뒤에 컭! 하면서 눈을 뜬 뒤 고개를 좌우로 두 번 돌려 이미 내가 내릴 역에서 지하철이 빠져나가고 있는 걸 확인 한 후 다음 역인 신당에서 내려서 반대편으로 가는데) 이건 신당도 다음 역 상왕십리도 아닌 한양대에 멈추려고 하고 있어서 헐킈;;; 네 역이나 지나왔네;;; 여긴 승강장 연결도 안 되어 있는데 -_- 하고는 츄르릅 내려서(의태어가 부적절한 것 같다면 기분 탓입니다 ㅋ) 계단을 올라가 반대편으로 넘어가려고 나즈막하고 둥근 문이 달린 개찰구로 가려다가,
아, 맞다! 이제 반대편 승강장으로 넘어갈 때 그냥 카드 찍어도 돼지! 하는 생각이 뾰로롱 지나가서, 거침없이 가방에서 지갑을 꺼내 삑- 찍고, 탄력을 받아(다시 말해 지갑을 그대로 들고) 빠른 속도로 반대편 개찰구로 진행해(오오-분? 한 3초 걸림 ㅋ) 다시 카드를 삑- 찍었는데...
1050
읭?!?!??? 0(이나 200)이 아니고 1050???
뭥미??? 환승처리 된다며? 왜 기본요금이 또 찍혀? 뭐지? 티머니만 되고 후불 교통카드는 적용이 안 되는 건가?
바로 뒤에 역무원이 있었지만 계단을 올라왔다 카드를 찍고 직선으로 이동해 다시 찍고 계단을 내려가는 과정이 사실 (앞에서 말했듯) 탄력을 받아눈 깜빡하는 동안에 빠르게 일어난 일이라 물어보지 않고 그냥 타서 검색을 해 봤다.
Aㅏ......... 승차-하차-승차가 모두 동일한 역에서 해야 한다고...?
그럼 동일역 5분 재개표라고 하지 말고 최초 승차역 5분 재개표라고 했으면 애초에 이런 오해가 없었을텐데! -_-; 지하철 5분 이내 반대방향 개찰구로 다시 들어갈때 요금을 또 물지 않아도 된다고만 홍보해 놓고! ㅡㅜ
사실 이 블로그에 모든 사항이 다 자세히 적혀 있어서 내가 따로 궁시렁댈 건수가 없다. 그냥 아래 글을 읽어보면 됨.
10센트라도 아껴야지,
안습,
지하철,
환승
그러다 어제 아침에 지하철에서 자다가 일어났는데 (보통은 문이 닫힌 뒤 5~10초 정도 뒤에 컭! 하면서 눈을 뜬 뒤 고개를 좌우로 두 번 돌려 이미 내가 내릴 역에서 지하철이 빠져나가고 있는 걸 확인 한 후 다음 역인 신당에서 내려서 반대편으로 가는데) 이건 신당도 다음 역 상왕십리도 아닌 한양대에 멈추려고 하고 있어서 헐킈;;; 네 역이나 지나왔네;;; 여긴 승강장 연결도 안 되어 있는데 -_- 하고는 츄르릅 내려서(의태어가 부적절한 것 같다면 기분 탓입니다 ㅋ) 계단을 올라가 반대편으로 넘어가려고 나즈막하고 둥근 문이 달린 개찰구로 가려다가,
아, 맞다! 이제 반대편 승강장으로 넘어갈 때 그냥 카드 찍어도 돼지! 하는 생각이 뾰로롱 지나가서, 거침없이 가방에서 지갑을 꺼내 삑- 찍고, 탄력을 받아(다시 말해 지갑을 그대로 들고) 빠른 속도로 반대편 개찰구로 진행해(오오-분? 한 3초 걸림 ㅋ) 다시 카드를 삑- 찍었는데...
읭?!?!??? 0(이나 200)이 아니고 1050???
뭥미??? 환승처리 된다며? 왜 기본요금이 또 찍혀? 뭐지? 티머니만 되고 후불 교통카드는 적용이 안 되는 건가?
바로 뒤에 역무원이 있었지만 계단을 올라왔다 카드를 찍고 직선으로 이동해 다시 찍고 계단을 내려가는 과정이 사실 (앞에서 말했듯) 탄력을 받아
Aㅏ......... 승차-하차-승차가 모두 동일한 역에서 해야 한다고...?
그럼 동일역 5분 재개표라고 하지 말고 최초 승차역 5분 재개표라고 했으면 애초에 이런 오해가 없었을텐데! -_-; 지하철 5분 이내 반대방향 개찰구로 다시 들어갈때 요금을 또 물지 않아도 된다고만 홍보해 놓고! ㅡㅜ
사실 이 블로그에 모든 사항이 다 자세히 적혀 있어서 내가 따로 궁시렁댈 건수가 없다. 그냥 아래 글을 읽어보면 됨.
환승이 되리라 믿고 바로 옆에 역무원이 있는데도 당당히 표를 찍고 나갔다가 다시 들어가 버려 피 같은 1050원이 또 나가버리는 불이익은 없기를 바랍니다.내가 딱 이 꼴이 났네 ㅠㅠ
-
매치어 2012.07.27 22:11
역시 서울은 몇년 전이나 요즘이나 계속 새로운 제대로 도입이 되고... 새로운 제도에 대해 아예 모르는 게 대충 아는 것보다 나은 상황이로군요. (...라고 KTX를 타도 2시간 넘게 가야 하는 촌에서 말합니다.)
저 같은 사람으로선 어디에 써먹어야할지 모르겠는 제도네요.-
궁시렁 2012.07.29 00:06
두 승강장이 paid area로 이어져 있지 않은 역에서, 아직 탑승하기 전에, 아- 내가 승강장을 잘못 왔구나 하고 깨달음을 얻은 경우에 한해(야 이거 조건 참 까다롭네요ㅋ) 승무원을 부르는 귀찮은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냥 내리고 바로 다른 방향으로 타도 기본요금을 또 받지 않고 그냥 환승으로 처리해 준다는 제도... 아 그냥 하지 말라고 해요. 차라리 없는 게 간단하고 속편하겠어요. ㅡㅡㅋ
-
-
-
마가진 2012.08.11 01:49
나도 저런 경우 몇 번 있어서 벌쭘한 적이 몇 번 있었다능.
역중에는 한 곳은 양 옆이 한 곳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굳이 찍고 나갈 필요가 없는 역도 군데군데 많은 데
차라리 그런 역을 조그만 별표표시같은 걸로 지하철내 지하철로 표시안내판에 표시해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더라구. ^^;
그나저나 이 더운 여름 잘 지내시고 계시지? ^^*
Step 1. 고대 -> CGV대학로 (273번)
Step 2. 혜화역 입구쪽 단말기에 카드 찍기(지하철 이용시 최대 5시간 동안 카드 오픈)
Step 3. 재미있게 영화를 즐긴다.
Step 4. 혜화역 출구쪽 단말기에 카드 찍기(동일역 승/하차이므로 거리 0km)
Step 5. CGV 대학로 -> 고대 (273번)
이상 900원 아끼기였스빈다. ㅠㅠ 덤으로 운동도 되지 않을까요?
이건 뭐 무임승차도 아니고 무임승차가 아닌것도 아니고 -_-;;
어쨌던 폴짝~하는건 아니잖아요?
출처 : http://www.koreapas.net/bbs/view.php?id=freebbs&no=15834
ㅎㄷㄷ;;; 이런 방법까지 생각해 내는 인간은 역시 재밌는 동물이야... ㄲㄲㄲ
그런데 바깥쪽에서 하차 태그 하려면 좀 우스꽝스럽지 않나? +_+ 경험상 내 팔 길이로는 대략 불가능 ㅡㅡㅋ
10센트라도 아껴야지,
ㅋㅋㅋ,
지하철,
환승
Step 2. 혜화역 입구쪽 단말기에 카드 찍기(지하철 이용시 최대 5시간 동안 카드 오픈)
Step 3. 재미있게 영화를 즐긴다.
Step 4. 혜화역 출구쪽 단말기에 카드 찍기(동일역 승/하차이므로 거리 0km)
Step 5. CGV 대학로 -> 고대 (273번)
이상 900원 아끼기였스빈다. ㅠㅠ 덤으로 운동도 되지 않을까요?
이건 뭐 무임승차도 아니고 무임승차가 아닌것도 아니고 -_-;;
어쨌던 폴짝~하는건 아니잖아요?
출처 : http://www.koreapas.net/bbs/view.php?id=freebbs&no=15834
ㅎㄷㄷ;;; 이런 방법까지 생각해 내는 인간은 역시 재밌는 동물이야... ㄲㄲㄲ
그런데 바깥쪽에서 하차 태그 하려면 좀 우스꽝스럽지 않나? +_+ 경험상 내 팔 길이로는 대략 불가능 ㅡㅡ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