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에 해당하는 궁시렁 3

  1. 2009.02.11 심리적 잠수병 2
  2. 2008.10.11 번역은 제발 표준어로 7
  3. 2008.09.25 Jewish, but not Israeli (추가) 6

심리적 잠수병

And Everything 2009. 2. 11. 18:45
석방된 억류자에게 더 이상 심리적인 치료가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이리라. 그렇게 오랫동안 그렇게 큰 심리적 압박을 받아 온 사람은 특히 그 압박이 아주 갑자기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자연히 석방된 뒤 얼마간 아주 위험한 상태에 놓이기 마련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 위험한 상태는 심리적 잠수병에 해당한다. 정신적인 압박에서 갑자기 풀려난 사람도 심리적, 정신적 건강이 손상될 수 있다.
관찰 결과 이 심리적 단계에서 보다 원시적인 성격을 지닌 사람들은 수용소 생활을 할 때 그들을 에워싸고 있던 잔인성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이제 자유로워진 그들은 자신의 자유를 방자하고 무자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들에게 있어 바뀐 것은 단지 그들이 이제는 억압받는 자가 아니라 억압자라는 것 뿐이었다. 그들은 의도적인 폭력이나 부당한 처사의 대상이 아니라 그것의 선동자였다. 그들은 자신의 행위를 자신의 끔찍한 경험으로 정당화했다. 이것이 종종 외관상 하찮아 보이는 사건들에서 드러났다. 한 친구가 나와 함께 들판을 가로지르며 수용소를 향해 걸어가다가 갑자기 농작물이 푸릇푸릇 자라고 있는 밭에 이르렀다. 자동적으로 나는 그곳을 피했지만, 그는 내 팔을 잡고 나를 질질 끌면서 그곳을 지나갔다. 나는 더듬으며 뭐라고 말하면서 어린 농작물을 밟아서는 안 된다는 뜻을 전했다. 그러자 그는 불쾌하게 여기고는 화난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며 이렇게 소리쳤다.
"그럴까! 우리가 빼앗긴 것으로 충분하지 않아? 다른 건 말할 것도 없고, 내 아내와 자식이 독가스로 살해됐어! 그런데 이까짓 귀리 몇 포기도 못 밟게 해?"
서서히 점차적으로만 이런 사람들이 설사 부당한 일을 당했다 하더라도 누구에게도 부당한 짓을 저지를 권리가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깨닫게 할 수 있었다. 우리는 그들이 이런 진리를 다시 깨우치도록 노력을 기울였다. 그렇지 않으면 귀리 수 천 포기 손실보다 더 나쁜 결과가 초래되었을 것이다. 나는 셔츠 소매를 걷어올리고 오른손을 내 코 밑에 내밀며 "집에 도착한 날 내가 이 손을 피로 물들이지 않으면 차라리 손을 잘라 버릴 거야!" 라고 소리쳤던 억류자를 아직도 떠올릴 수 있다.  나는 이 말을 한 사람이 결코 나쁜 사람이 아니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그는 수용소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도 가장 훌륭한 동료였다.


Victor E. Fankl, Ein Psychologe erlebt das Konzentrationlarger, Ch. 9

이스라엘 관련 궁시렁

  1. 2009/01/02 바시르와 추는 왈츠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9)
  2. 2008/09/25 Jewish, but not Israeli (6)

엘리 비젤의 "밤"을 번역한 김하락씨는 '바른 번역' 소속 번역가 겸 국어단체연합 국어상담소 상담원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사람이, 책 제목은 (친절하게도 자신이 옮긴 책의 제목 그대로, 하지만 사실 그 책은 프랑스어 원문을 영어로 번역한 거지만) "나이트"라고 했을 뿐더러(나이트클럽을 연상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아마도 개신교도인지, 뒷표지에 "하나님"이라는 말이 등장한다. (올바르게 번역한 원고를 출판사에서 마음대로 바꿔버린 건지는 알 수 없다) 그동안 훌륭한 번역가들이 옮긴 책만 읽어서인지, 올바른 한국어가 아닌 이런 어처구니 없는 가당치도 않은 표현이 책 표지에 떡하니 있는 것에 짜증이 나서 읽고 싶은 마음이 순식간에 사라졌지만, 제3제국이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퇴각하는 죽음의 행진을 어떻게 묘사했는지 궁금했기 때문에 할 수 없이 읽기 시작했는데, 수없이 쏟아지는 '하나님' 때문에 책을 갈가리 찢어버리고 싶은 마음이 정말이지 굴뚝같았다.
전에 어느 블로그에서, 숫자에 님을 붙인 '하나님'이라는 말이 한글의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이라는 것을 알지만, 하나+님이라는 조합은 유일신을 나타내는 상징성이 있고, 어차피 언어는 많은 사람들이 쓰는 쪽으로 계속 바뀌는 거라면서, 이미 많은 사람들이 쓰고 있기 때문에('하느님'을 사용하는 사람보다 '하나님'을 사용하는 사람이 훨씬 더 많다고 구체적 숫자까지 들먹임) 하나님을 표준어로 하면 좋겠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부드러운 제안처럼 써 놨지만 사실은 아무런 이유 없이 자신들이 무조건 옳은 줄 아는 (대다수) 한국 개신교의 천박한 무식함, 후안무치, 오만방자함이 철철 넘쳐흐른다. 일요일엔 교회에 가야 되니까 국가가 주관하는 시험은 일요일에 봐서는 안 된다고 입법을 제안한 어느 정신 나간 국회의원도 있었지?

옮긴이의 글에 단골로 등장하는 난 열심히 번역했지만 그래도 부족한 점이 있다면 모두 자기 탓이라는 문구가 이 책에도 있다. '나름대로 충실히 번역한다고 했으나 저자와 독자에게 누를 끼치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고 한다. 차마 글로 옮기기에 부족한 절멸수용소의 처참한 모습을 풀어놓은 이 책을 단 한 단어를 잘못 써서 어느 독자에게 누를 끼쳤으니, 의구심은 없어지지 않겠네. -_-;


모든 대륙에서 인권이 침해받고 있습니다. 누구나 도처에서 벌어지는 불의나 인간의 고통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그들의 처지에 아픔을 느낍니다만, 그들이 폭력적 방법에 호소할 때는 슬픔을 금할 길이 없습니다. 폭력은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테러리즘은 가장 위험한 답입니다. 그들은 낙담하고 있습니다. 그건 이해합니다. 어떻게든 손을 써야 합니다. 난민들과 그들이 겪는 불행, 아이들과 그들이 겪는 공포, 쫓겨난 사람들과 그들이 겪는 절망. 그들을 그대로 두어서는 안 됩니다. 유대 민족과 팔레스타인 민족은 둘 다 자식을 너무 많이 잃었고, 피를 너무 많이 흘렸습니다. 반목과 유혈 사태는 중지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이스라엘은 협력할 것입니다. 그럴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저는 이스라엘을 믿습니다. 유대 민족을 믿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에 기회를 줍시다. 이스라엘의 지평선에서 증오와 위험이 사라지게 해야 합니다. 그러면 성스러운 땅과 그 주변 나라에 평화가 올 것입니다. 제가 기억하는 것을 기억하신다면 제가 이스라엘 문제에 깊이 관여하는 것을 이해해주시리라 믿습니다. 이스라엘이 한 차례 전쟁에서 만에 하나 지기라도 한다면 이스라엘과 이스라엘 민족은 종말을 맞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제게는 믿음이 있습니다.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삭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에 대한 믿음과 그가 창조한 세계에 대한 믿음이 있습니다.

엘리 비젤의 1986년 노벨 평화상 수락 연설문의 일부분이다. 책을 읽는 내내 '하나님'에 넌덜머리가 나있어서 그런지, 놀랍게도 관용과 평화보다 선민의식이 눈에 먼저 들어온다. (게다가 비젤의 그 굳은 믿음은 슬프게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내가 좀 흥분해서 그렇지, '하나님'만 빼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하지만 난 (프랑스어를 모르니까) 영어로 된 책을 보겠다. ㅡㅡ;



Night
Elie Wiesel (tr. Marion Wiesel)
New York: Farrar, Straus & Giroux, 2006


레비는 가족이 살해되고 고향의 공동체를 파괴당한 유대인, 그것도 아우슈비츠의 지옥을 함께 살아 나온 그의 동료들에게 이스라엘은 매우 소중한 피난처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레비를 포함한 많은 유대인 지식인들의 이와 같은 생각에도 심한 균열이 생기는 때가 왔다. 1982년 6월에 이스라엘군이 PLO의 군사 거점을 공격한다는 명목으로 레바논을 침공한 것이다. 이스라엘 국가가 자신이 바라는 유대 민족의 피난처라는 이미지와는 반대로 군사적 방향으로, 미숙한 방식의 파시즘적 방향으로 바뀌어 공격적인 의미에서의 내셔널리즘이 강화되는 것에 위기의식을 느낀 레비는 "우리는 우선 민주주의자인 다음에 유대인, 이탈리아인 등 그밖의 존재여야 한다"고 말한다. 이스라엘 국가가 그 이웃에 취하는 태도는 그의 양심을 찌르는 가시와 같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이 곤란에 빠졌을 때 비판적 입장을 취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레비에게 비난을 퍼부었다. 심지어 이스라엘에 있는 친구 몇몇에게서 "그동안 유대인이 흘린 피에 눈을 감고 있다"는 '비수를 꽃는 듯한' 편지를 받기도 했다.

서경식, "시대의 증언자 쁘리모 레비를 찾아서", pp. 258-261

우리 디아스포라 유대인은 두 가지, 즉 도덕적인 것과 정치적인 면에서 베긴1 에 반대할 수 있다. 먼저 도덕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아무리 전쟁 중이라 해도 베긴과 그의 동료들이 보여주었던 잔인한 오만함을 정당화할 수 없다. 정치적인 주장도 이와 마찬가지로 분명하다. 이스라엘은 지금 완전한 고립 상태 속으로 추락하고 있다. [중략] 우리는 보다 냉철한 이성으로 현재 이스라엘 지도부의 실수에 판결을 내리기 위해 이스라엘과의 감정적인 연대감을 억눌러야만 한다.

Primo Levi, La Republica, 24 SEP 1982,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과 사브라와 샤틸라 팔레스타인 구역에서의 대학살2 에 관한 잠파올로 판사와의 대담 중에서 발췌


시대의 증언자 쁘리모 레비를 찾아서 プリ-モ ·レ-ヴィへの旅
서경식 지음 / 박광현 옮김
창비, 2006


주기율표 Il sistema periodico
프리모 레비 지음 / 이현경 옮김
돌베게, 2007



(책에는 없는 궁시렁의 주석)
  1. 1977년 이스라엘 총리가 되었고, 이집트와의 평화 교섭으로 1978년 사다트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1982년 레바논을 침공했고 이스라엘군이 관할하던 사브라와 샤틸라에서 벌어진 학살을 묵인하고 방치한 일로 이스라엘은 국제적으로 비난을 받았고 Nazisrael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본문으로]
  2. PLO가 베이루트에서 철수하고 9월 15일 이스라엘군이 서베이루트를 점령한 다음날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에서 친이스라엘파 민병대가 팔레스타인 난민을 무차별 대학살을 자행했다. PLO의 발표에 따르면 희생자 수는 3200명 이상에 이른다. 이스라엘 정부가 파견한 진상 조사 위원회에 따르면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아리엘 샤론의 간접적 책임이 있다. 위원회는 샤론의 공직 진출을 금지해야 한다고 결론냈지만 샤론은 약 20년 뒤 총리가 되었다. [본문으로]
1